관포지교(管鮑之交)

조회 5,057

춘추시대, 관중포숙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절친했던 둘은 나란히 관직에 올랐습니다. 관중은 제나라 군주인 양공의 아들 ‘규(糾)’의 보좌관이 되었고, 포숙은 규의 이복동생인 ‘소백(小白)’을 섬겼지요.

그런데 양공이 시해를 당하면서 왕위를 놓고 두 형제와 조정 대신 간에 다툼이 벌어졌습니다. 왕위를 차지한 소백이 규를 죽이고 관중도 죽이려 하자, 포숙은 간곡히 빌며 관중을 등용할 것을 진언했습니다. 정사를 맡게 된 관중은 왕을 성심껏 보좌하여 재상(宰相)의 자리에까지 올랐습니다. 포숙은 관중의 성공을 자신의 일처럼 기뻐했습니다. 훗날 관중은 포숙에 대해 이렇게 회고했습니다.

“포숙과 장사를 할 때 나는 내 몫을 더 크게 했다. 그러나 포숙은 내 가난을 알고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세 번 벼슬길에 나아갔다가 번번이 쫓겨났으나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고 아직 운이 없는 거라고 위로했다. 또한, 내가 전쟁터에 나갔다가 세 번이나 달아났지만 비겁하다 하지 않았다. 내가 노모를 모시고 있어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감싸주었다.”

형편이나 이해관계에 상관없이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관중과 포숙의 사귐’이란 뜻으로 ‘관포지교(管鮑之交)’라 일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