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자는 유모에 의해 길러졌습니다. 국모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왕비가 육아에만 전념할 수 없을뿐더러 아기를 위해 젖을 주고, 씻기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일들을 직접 챙기기는 무리였기 때문입니다. 왕자는 늘 곁에서 살뜰히 보살펴주는 유모를 어머니 못지않은 존재로 여겼습니다. 왕자가 왕으로 즉위하면 유모에게도 그 공로를 인정해 ‘봉보부인 종1품’이라는 벼슬을 내렸는데, 봉보부인은 영의정에 버금가는 큰 벼슬로서 가마를 타고 종을 거느렸으며 때때로 왕의 하사품을 받았습니다. 천민 출신인 유모에게는 그야말로 인생 역전인 셈이자 가문의 영광이었습니다.
하지만 유모는 아무나 될 수 없었습니다. 체격, 모유 상태, 건강 등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야 했지요. 그중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심사 기준이 성품이었습니다. 순조실록에는 “유모는 반드시 너그럽고 인자하며, 따뜻하고 공손하며, 예의를 차리고 말을 적게 하는 이를 골라서 자식의 스승으로 삼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왕자와 가장 가까이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대신하는 유모는 그 품행에도 어머니의 따스함을 지녀야 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