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V.org is provided in English. Would you like to change to English?

늦기 전에

조회 9,300

40년 넘게 호스피스(죽음을 앞둔 환자가 평안한 임종을 맞도록 돕는 의료 봉사) 활동에 전념해온 의사 아이라 바이오크(Ira Byock)는 자신의 저서 『오늘이 가기 전에 해야 하는 말』에서 임종 직전의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한 가지를 제안한다.

‘용서해줘. 용서할게. 고마워. 사랑해.’ 이 네 마디를 주고받을 것. 환자와 가족들이 제때 진심을 고백하지 않아 뒤늦게 후회하는 모습을 보고 그가 고안한 방법이었다.

실제로 20년간 아버지와 절연했던 한 남성은 아이라의 저서를 접한 뒤 아버지와의 묵은 감정을 털어냈다. 아버지의 암 판정 소식을 들은 그는 용기를 내 아버지와 조금씩 만남을 이어가던 중 병세가 위중하다는 전화를 받고 급히 병원을 찾았다. 어머니도 암으로 떠나보낸 그는 병실에 도착해 아버지의 손을 꼭 잡았다.

“어떻게 왔니?”

“사랑하니까요.”

“나도 사랑한다.”

“더 좋은 아들이 못 돼서 죄송해요.”

“더 좋은 아버지가 못 돼서 미안하구나.”

이날의 대화가 부자(父子)의 마지막 대화였다. 아버지의 장례식 추도사를 낭독한 아들은 아버지와의 마지막 대화를 언급하며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 모두 사랑합니다. 여러분 모두 용서합니다. 여러분 모두 저를 용서해주세요. 이렇게 찾아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모든 말에는 알맞은 때가 있다. 용서를 구해야 할 때, 감사를 전해야 할 때, 사랑을 표현해야 할 때. 내 삶의 일부인 이들에게 지난날 못다 전한 진심이 있다면 더 늦기 전에 말해보자.

“미안해요. 용서할게요. 고마워요. 사랑해요.”

간단하지만 효과는 확실하며 쌓인 감정을 눈처럼 녹이고 상처의 골에 새살을 돋게 하는 말들이다. 매일 해도 넘치지 않는다.